티스토리 뷰

 

CR&IF,Close reduction, internal fixation 수술 부위를 개방하지 않고 핀 등으로 고정하는 수술

OR&IF,Open reduction, internal fixation  부위를 개방하여 플레이트나 스크류등을 이용해 고정하는 수술

Debriment of wound(suture) - 염증이 심한부위 등을 일부 개방하여 염증을 제거하는 수술

Metal removal from bone - 부러진 뼈 등에 고정한 플레이트 스크류 등을 제거하는 수술

Arthroscopy - 관절내시경 수술

Exploration - 이물질 등이 몸에 들어간경우, 인대등이 끊어졌을 가능성이 있을경우 확인하는 수술

ACL(anterior cruciate ligament) recon - 전방십자인대 재건술

Osteostomy - 뼈 깎는 수술

Bone graft - 뼈 이식술

마취의 종류

1. 전신 마취 : General anesthesia, 주로 프로포폴 사용하며 마취 후 마취가스를 주입한다. 그래서 환자가 수술을 마치고 오면 심호흡과 기침을 시켜야 하는 것이다.

2. 팔마취 : BPB(Brachio Plexus Block, 상완신경총차단술), 겨드랑이에 있는 신경을 마취해서 한쪽 팔 감각을 마비시킨다.

손이나 팔 수술 시 시행

3. 척수 마취 : Spinal anesthesia, 하반신 마취로 척수에 마취액을 주입하기 때문에 환자가 수술 후에 고개를 들게되면 척수액이 뇌쪽에서 빠져나와 두통을 유발할 수 있다. 이렇게 유발되는 두통은 진통제를 써도 잘 가라안지 않으니 반드시 환자에게 가르친다.

허리 아래로 수술 시 시행.

4. 부분 마취 : Local anesthesia, 간단한 수술 시 국소적(부분적)으로 수술 주변부에 lidocaine을 주사해 마취하는 것이다.

우리 병동에선 일반적으로 MMT 할 때 시행한다.

환자가 수술을 마치고 왔을 때

반.드.시.

수술 부위 elevation 시키고, 얼음팩을 사오게끔 가르친다(2개-번갈아 사용할 수 있도록) ;부종통증완화

'Study > Nursing Scienc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유치도뇨 간단설명  (0) 2021.04.05
CTD(Chest Tube Drainage)  (0) 2021.03.31
수혈(Transfusion)  (0) 2021.03.20